저는 물건을 구매할 때 저렴하게 구매하기 위해서 굉장히 꼼꼼히 보는 편 입니다. 저는 네이버쇼핑을 주로 이용하는데 보여지는 동일 상품 최저가 비교로 11번가나 G마켓등도 함께 보여주기에 국내 최저가는 쉽게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. 하지만 쉬워진 해외 직구로 소비자는 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길이 생겨났는데 아마존,이베이 같은 경우에는 전세계를 담당하는 만큼 사고자하는 물건을 검색해보면 한국최저가보다 훨씬 저렴한 경우가 많습니다.
해외 결제는 마스터 카드나 비자 카드가 있어서 결제는 어렵지 않죠. 허나 처음 해외 직구를 하려고 할 때 막히는 부분이 있습니다. 바로 Adress 입력칸으로 당연히 한국어로 작성하시면 배송이 불가능합니다. 주소를 영문 전환을 시켜주셔야 하는데 제가 사용하고 있는 가장 간편한 영어 주소로 쓰는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.
정확한 내 집주소의 영문 주소를 알고 싶으시다면 인터넷 우체국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하면 됩니다. 접속하신뒤 아래로 내려보시면 우편번호 찾기가 있습니다. 클릭해줍니다.
시/군구 + 도로명,동명,건물명을 조합하여서 찾아주시면 됩니다. 잘모르시겠다면 살고 있는 시,군,구를 기입하고 목록을 넘겨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. 현재 집 위치를 찾았다면 오른쪽에 있는 English/집배코드 더보기를 클릭합니다.
이곳에서 우편번호와 영문 주소가 있습니다. 해외에서 우편을 보낼때에는 저 영문 주소를 모두 사용하시고 아파트 동,호,수와 같은 상세정보는 함께 적어주시면 됩니다. 해외 직구시에는 저 영문 주소를 이용하여 각 칸에 맞춰서 적어주시면 됩니다. 설명이 어려울 수 있으니 아마존 해외직구 배송지 기입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.
아마존에서 물건을 주문할때에 볼 수 있는 배송지 입력칸입니다. 어떤 곳을 이용하시든 입력칸은 동일합니다. 주소 입력칸이 2개여서 어렵게 느껴질 수 있으나 간단하게 해결 할 수 있습니다.
예시를 위해서 아래에서는 우체국 영문주소 45, Majo-ro 1-gil, Seongdong-gu, Seoul, 04760, Rep. of KOREA를 활용해서 작성해보았습니다.
1. Full name- 이름은 성과 이름의 위치는 신경 쓰지 않으셔도 됩니다.
(ex Hong gildong, gildong Hong 모두 가능)
2. Street address 1 영어 주소 쓰는법은 첫째칸에는 도로명,번지수만 기입합니다.
(ex 45, Majo-ro 1-gil, Seongdong-gu, Seoul, 04760, Rep. of KOREA라면 서울시와 우편번호 대한민국을 지워주시고 45, Majo-ro 1-gil, Seongdong-gu만 기입합니다.)
두번째 주소 입력칸에는 상세주소를 입력합니다.
아파트나 건물명, 동수와 호수 ex 592-101)
3. City에는 시,군구를 state/province/Region에는 도,시를 입력합니다.
4. Zip Code에는 위에서 알아온 우체국 우편번호 숫자 5개를 기입합니다.
(집배코드나 국가번호가 아닙니다. ex 04760)
5. Phone number는 핸드폰번호를 넣어주시고 010이나 +82 아무거나 사용하셔도 됩니다.
최근에는 아마존,이베이등의 해외사이트 직구를 대행해주는 서비스들이 (ex 에프터바이) 많이 생겼는데 해외직구도 한국어로 주소를 입력하여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. 영어 주소 쓰는법이 어렵게 느껴지시는 구매자라면 한번 알아보셔서 편리한 쇼핑을 즐겨보시길 바랍니다. 끝.